로컬에서 npm run serve로 시작할 때에는 .env.development의 값이 적용되고
실제 build를 통해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env.production의 값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그리고 이 두 파일은 github에 올리시면 안됩니다. 중요한 환경변수 값들이 들어있기 때문이죠
.gitignore로 등록해둘 것대신 .example을 따로 만들어서 환경변수 값을 지우고 올릴 것입니다. .example은 git에 등록해도 됩니다
.env.development에는
VUE_APP_BASE_URL=http://localhost:port번호
.env.production에는
# VUE_APP_BASE_URL=http://AWS DNS 주소:8888
# VUE_APP_BASE_URL=http://IP주소:8888
VUE_APP_BASE_URL=https://fourman.shop:8888
아래의 4개 파일은 루트폴더에 넣는다(src폴더 내부가 아님)
스프링서버의 컨테이너이름을 넣어도 되나? 모르겠
그리고 이 환경변수 값들을 불러와서 전처리해주는 파일을 하나 만들것입니다.
env.js로 만들었습니다. (이 파일은 src폴더 내부에 넣는다)
이 방법의 장점은 local에서 실행할 때에는 .env.development의 URL 값을, 배포 했을 때에는
.env.production의 URL 값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이제 일일이 URL을 바꿔줘야할 필요가 없겟죠
--------------------------------------------------------------------
배포하기위한 파일
frontend라는 폴더에
docker-compose.yml파일 생성(nginx 이미지 생성)
conf폴더생성( dev.conf 이름으로 파일을 만들어서 Nginx설정 내용을 입력해준다)
html폴더생성(npm run build하여 얻은 dist폴더를 이 안으로 넣는다)
그후ㅠ
sudo docker-compose up -d 실행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포 환경 변경시 주의사항 (0) | 2023.11.10 |
---|---|
Springboot 프로젝트 배포환경으로 변환 (0) | 2023.11.08 |
인텔리제이 환경변수 설정 (1) | 2023.11.07 |
인텔리제이(intelliJ) 자바 버전 바꾸는법 (0) | 2023.11.07 |
Redis 비밀번호 설정 (0) | 2023.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