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넷(Subnet)은 큰 네트워크를 더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과정입니다. 서브넷을 생성하는 주된 이유는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이고, 보안을 강화하며, IP 주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입니다.
서브넷 예시
가정을 해봅시다. 한 회사의 IT 네트워크를 구성하려고 합니다. 회사는 총 3개의 다른 부서를 가지고 있으며, 각 부서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리소스와 보안 수준을 요구합니다. 이 회사의 IT 관리자는 네트워크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기로 결정했습니다:
1. 경영 부서
- IP 주소 범위: 192.168.1.0/24
- 용도: 경영 부서는 회사의 중요한 금융 및 인사 자료에 액세스해야 하므로 보안 수준이 높은 네트워크입니다.
- 장비: 이 서브넷에는 서버, 워크스테이션, 프린터 등이 포함됩니다.
2. 영업 부서
- IP 주소 범위: 192.168.2.0/24
- 용도: 영업 부서는 고객 관리 및 영업 데이터에 자주 접근합니다. 이 부서의 네트워크는 외부 통신이 많으므로 다소 느슨한 보안 설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장비: 노트북, 모바일 장치, 데스크톱 컴퓨터 등.
3. 연구 및 개발 부서
- IP 주소 범위: 192.168.3.0/24
- 용도: 연구 및 개발 부서는 실험과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네트워크 리소스가 필요합니다. 이 부서는 네트워크 분리를 통해 안정성과 보안을 유지합니다.
- 장비: 고성능 컴퓨터, 서버, 테스트 장비 등.
네트워크 구성
이 서브넷들은 각각 별도의 라우터 인터페이스나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라우터 설정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각 서브넷은 서로 다른 보안 정책과 네트워크 정책을 적용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IP 주소 관리와 네트워크 보안 강화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 예시는 각 부서의 요구사항에 맞춰 서브넷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실제 네트워크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더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서브넷 마스크(bit notation in the subnet mask)를 조정하여 IP 주소 범위를 더 세분화할 수도 있습니다.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ES-256의 키 길이 (0) | 2024.07.31 |
---|---|
서브넷 마스크 (0) | 2024.07.30 |
서브넷 마스크를 나타내는 표기법 ,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0) | 2024.07.30 |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 (0) | 2024.07.30 |
csv파일 에서 , 의 처리 (0)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