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참조의 해결방법1
@JsonManagedReference와 @JsonBackReference는 Jackson 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하는 애노테이션입니다. 이러한 애노테이션들은 양방향 관계가 있는 엔티티들 사이에서 순환 참조(Circular Reference)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순환 참조 문제는 한 엔티티에서 다른 엔티티를 참조하고, 그 참조된 엔티티가 다시 처음 엔티티를 참조할 때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직렬화(Serialization) 과정에서 무한 루프에 빠질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ackson에서는 @JsonManagedReference와 @JsonBackReference 애노테이션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양방향 관계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여기서 Product 엔티티는 ImageResource 엔티티를 참조하고, ImageResource 엔티티는 다시 Product 엔티티를 참조합니다. 이러한 관계에서 순환 참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roduct 엔티티의 imageResourceList 필드에 @JsonManagedReference를 붙여주고, ImageResource 엔티티의 product 필드에 @JsonBackReference를 붙여줍니다.
그럼 @OnetoMany에는 항상 @JsonManagedReference 이걸 붙여줘야되나?
아니요, 항상 붙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JsonManagedReference와 @JsonBackReference는 양방향 연관 관계에 있는 엔티티들 사이에서 순환 참조 문제가 있을 때만 사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순환 참조 문제가 없는 상황에서는 이러한 애노테이션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만약 양방향 연관 관계에 있는 엔티티들 사이에서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하면, @JsonManagedReference를 부모 엔티티의 컬렉션 필드에 적용하고, @JsonBackReference를 자식 엔티티의 참조 필드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JsonIdentityInfo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순환 참조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이 애노테이션은 엔티티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엔티티를 직렬화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Jackson은 직렬화 과정에서 Product 엔티티의 imageResourceList 필드를 정상적으로 직렬화하고, ImageResource 엔티티의 product 필드를 직렬화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순환 참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양방향 연관 관계에 있는 엔티티들 사이에서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JsonManagedReference나 @JsonBackReference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OnetoMany를 사용했는데 @JsonManagedReference 안붙여도 되는 예시가 있을까?
물론입니다. 아래 예시는 @OneToMany를 사용한 양방향 연관 관계를 설정한 예시입니다. 이 경우,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JsonManagedReference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위 예시에서 Author와 Book 엔티티는 양방향 연관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Author 엔티티는 books 필드를 통해 여러 Book 엔티티를 참조하고, Book 엔티티는 author 필드를 통해 한 명의 Author 엔티티를 참조합니다. 이 경우, JSON 직렬화 과정에서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JsonManagedReference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게 @JsonManagedReference 쓴 위의 Product 엔티티의 예시랑 차이점이 뭘까?
저, @JsonManagedReference와 @JsonBackReference는 순환 참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문제는 양방향 연관 관계에서 JSON 직렬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제공한 예시에서는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JsonManagedReference와 @JsonBackReference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제가 이전에 제공한 Author와 Book 엔티티 예시에서는 연관된 엔티티를 직렬화할 때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는 Book의 Author를 직렬화할 때 Author 엔티티 내부의 books 필드가 지연 로딩(FetchType.LAZY)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Author의 books 필드는 직렬화 과정에서 초기화되지 않아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Product와 ImageResource 엔티티 예시에서는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etchType.EAGER 이거가 있을떄만 @JsonBackReference를 붙여준다는 말인가?
아니요, 그렇지 않습니다. FetchType.EAGER와 @JsonBackReference의 사용 여부는 서로 독립적입니다. FetchType은 JPA 연관 관계에 대한 로딩 전략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JsonBackReference와 @JsonManagedReference는 순환 참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FetchType.EAGER와 순환 참조 문제가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FetchType.EAGER를 사용하면 연관된 엔티티가 항상 함께 로드되므로 JSON 직렬화 과정에서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만 @JsonBackReference와 @JsonManagedReference를 사용하여 순환 참조를 해결해야 합니다.
따라서 FetchType.EAGER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JsonBackReference를 붙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만 @JsonBackReference와 @JsonManagedReference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FetchType.LAZY와 함께 순환 참조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JsonBackReference와 @JsonManagedReference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JSON 직렬화 과정에서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어떤경우가 있지?
JSON 직렬화 과정에서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주로 객체 간의 상호 참조가 있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엔티티 A와 엔티티 B가 서로를 참조하고 있을 때, JSON 직렬화 과정에서 무한 순환 참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방향 연관 관계: 두 엔티티 간에 양방향 연관 관계가 있는 경우, 두 엔티티가 서로를 참조하게 되어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 엔티티가 자식 엔티티를 가지고 있고, 자식 엔티티가 부모 엔티티를 참조하는 경우입니다.

중첩된 객체 구조: 객체 내부에 다른 객체가 중첩되어 있고, 중첩된 객체가 다시 원래 객체를 참조하는 경우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순환 참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ackson 라이브러리에서는 @JsonManagedReference와 @JsonBackReference 어노테이션을 제공합니다. 순환 참조가 발생하는 객체의 한 쪽에 @JsonManagedReference를 붙이고, 다른 쪽에 @JsonBackReference를 붙여서 순환 참조를 끊어줄 수 있습니다.
@OneToMany(mappedBy = "reservation")
@NonNull
private List<Seat> seats; 이걸 써주고 Seat 엔티티에 @ManyToOne 칼럼을 만들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
@OneToMany(mappedBy = "reservation")를 사용하여 Reservation 엔티티와 Seat 엔티티 간에 양방향 관계를 설정하려고 하지만, Seat 엔티티에 @ManyToOne 어노테이션이 없으면 양방향 관계가 완전하게 설정되지 않습니다.
Seat 엔티티에 @ManyToOne 어노테이션과 해당 JoinColumn을 정의하지 않으면, Seat 엔티티는 Reservation 엔티티와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갖지 못하게 됩니다. 이 경우, 관계 설정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아 예기치 않은 동작이나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OneToOne(cascade = CascadeType.ALL)
@JoinColumn(name="cafe_code_id")
private CafeCode cafeCode;
이거랑
@OneToOne(mappedBy="cafeCode")
private Cafe cafe;
이거는 왜 순환참조오류가 나는거지?
CafeCode 엔티티와 Cafe 엔티티 사이에 양방향 @OneToOne 관계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양방향 관계를 설정할 때, JSON 직렬화 과정에서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한 엔티티에서 다른 엔티티를 참조하고, 다시 다른 엔티티에서 원래 엔티티를 참조할 때 발생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Jackson의 @JsonManagedReference와 @JsonBackReferenc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JSON 직렬화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순환 참조를 피하고 직렬화 과정에서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어노테이션을 추가하여 순환 참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Cafe 엔티티에서 CafeCode 엔티티를 직렬화하지 않고 역 참조를 처리하도록 설정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순환 참조 문제가 해결됩니다.
양방향 @OneToOne 관계면 다 순환참조오류가 날까??
양방향 @OneToOne 관계 자체가 순환 참조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JSON 직렬화 과정에서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문제는 한 엔티티에서 다른 엔티티를 참조하고, 다시 다른 엔티티에서 원래 엔티티를 참조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방향 @OneToOne 관계를 사용할 때 순환 참조 문제를 피하려면, Jackson의 @JsonManagedReference와 @JsonBackReferenc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JSON 직렬화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순환 참조를 피하고 직렬화 과정에서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방향 @OneToOne 관계에 해당 어노테이션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순환 참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양방향 @OneToOne 관계인데 @JsonManagedReference를 쓰지않고 순환참조가 나지않는 예시를 들어줘
양방향 @OneToOne 관계에서 @JsonManagedReference를 사용하지 않고 순환 참조 문제를 피하는 방법 중 하나는 @JsonIgnore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관계의 한 쪽에서 JSON 직렬화를 방지하므로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Person과 Address 엔티티가 양방향 @OneToOne 관계를 갖고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위의 예제에서는 Address 엔티티의 person 필드에 @JsonIgnor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JSON 직렬화를 방지하였습니다. 이렇게 하면 Address 엔티티를 직렬화 할 때, person 필드는 무시되어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 방법은 @JsonManagedReference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순환 참조 문제를 피하는 방법입니다.
@JsonIgnore같은 순환참조를 피하는 어노테이션을 쓰지않는데 양방향 @OneToOne 인 예시는 없나?
일반적으로 양방향 @OneToOne 관계에서 순환 참조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순환 참조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순환 참조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양방향 @OneToOne 관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예시는 DTO(Data Transfer Object)를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DTO를 사용하여 엔티티를 JSON으로 변환하고, 순환 참조가 발생하지 않도록 엔티티 간 관계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는 양방향 @OneToOne 관계를 가진 Person과 Address 엔티티와 이에 대응하는 DTO 클래스입니다.

이렇게 PersonDTO와 AddressDTO 클래스를 사용하면, 엔티티간의 관계가 순환 참조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는 양방향 @OneToOne 관계를 사용하면서 별도의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이 방식을 사용하려면 엔티티를 DTO 객체로 변환하는 로직이 필요합니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OneToMany에서 Many에 해당하는 컬럼은 mysql에 보일까? (0) | 2023.04.19 |
|---|---|
| 컨트롤러에서 @RequestBody @RequestPart 의 차이 (0) | 2023.04.19 |
| @OneToOne에서 순환참조해결 -DTO사용 (0) | 2023.04.19 |
|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org.hibernate.TransientPropertyValueException: object references an unsaved transient instance - save the transient instance before flushing : (0) | 2023.04.19 |
| JPA 특정 엔티티에서 조인된 엔티티 검색 (0) | 202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