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ue.js 18

axios에 return을 붙여줘야할까?

return을 사용하는 것은 선택 사항입니다. return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호출한 곳에서 Promise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호출한 곳에서 비동기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추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 return이 있는 경우, 비동기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액션 내에서 모든 비동기 처리를 완료하고 호출한 곳에서 Promise를 기다릴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return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return을 추가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호출하는 곳에서 await 또는 then()을 사용하여 Promise가 완료되었음을..

Vue.js 2023.04.19

axios코드를 actions로 전부 다 옮기는게 좋을까?

Vue.js 애플리케이션에서 API 호출을 다루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created() 라이프사이클 훅에 직접 axios 코드를 넣는 것이 가장 간단한 방법이지만, 규모가 크거나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유지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Vue.js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관리를 위해 Vuex를 사용한다면, actions로 빼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코드의 구조화: API 호출을 Vuex의 actions에 정리하면 코드의 구조가 더 명확해지고, 관리하기 쉬워집니다. 재사용성: API 호출을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하면, 다른 컴포넌트에서도 쉽게 호출할 수 있어 재사용성이 높아집니다. 디버깅 용이성: Vuex를 사용하면 개발 도구를 통해 상태 변화를 ..

Vue.js 2023.04.19

vuex Created() vs Mounted()

mounted() 라이프 사이클 훅에서도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created()와 mounted()의 차이는 DOM이 준비되었는지 여부입니다. created()는 컴포넌트가 생성되고 데이터와 이벤트가 초기화되지만, DOM이 아직 준비되지 않은 시점입니다. 반면 mounted()는 컴포넌트가 생성되고 데이터와 이벤트가 초기화된 후 DOM이 준비된 시점입니다. DOM 요소에 직접 액세스하지 않은경우 created()대신 mounted()를 사용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Vue.js 2023.04.19

async 와 await에 대하여

async 키워드는 함수가 비동기(Asynchronous)로 동작하도록 지정합니다. 비동기 함수는 항상 Promise 객체를 반환합니다. 이 경우, axiosInst.post() 메서드가 HTTP 요청을 수행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비동기 작업입니다. async 키워드를 사용하면, 함수 내에서 await 키워드를 사용하여 비동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코드를 동기식 방식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비동기 작업의 결과를 쉽게 처리하고 에러 처리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에서 axiosInst.post() 메서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작업은 비동기로 처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async 키워드를 사용하여 이 함수를 비동기로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다른 ..

Vue.js 2023.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