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정보통신망

2. 데이터 통신의 기초

MDanderson 2025. 4. 5. 18:59

메시지는 요소 아님

 

1

위곡선이 아날로그변조

아래가 디지털변조

 

oscillator가  반송파 신호

 

위가 진폭변조

아래가 주파수변조

 

여기까지 아날로그변조

--------------

아래는 디지털 변조

 

 

정현파 (사인파)  상대적으로 전송효율이 높다.

 

 

 

3. 정보의 디지털화

 

 

 

------------전송코드-------

Baudot 코드

ASCII 코드

BCD 코드

EBCDIC코드

Unicode

 

 

아스키코드는7비트 => 128개 문자 표현

 패리티비트까지 해서 8비트

패리티 비트(parity bit)란?

  • 데이터를 전송할 때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1비트의 추가 비트
  • 패리티 종류:
    • 짝수 패리티(Even parity): 전체 비트 수가 짝수가 되도록
    • 홀수 패리티(Odd parity): 전체 비트 수가 홀수가 되도록
  • 예:
    • 아스키 'A' → 1000001 → 1의 개수: 2 (짝수)
      • 짝수 패리티면 패리티 비트 = 0
      • 홀수 패리티면 패리티 비트 = 1

✅ 아스키코드와 패리티 비트의 관계는?

  • 전송 시, 7비트 아스키코드 + 1비트 패리티 = **총 8비트(1바이트)**로 전송함
  • 하드웨어나 통신 프로토콜에서 오류 검출을 위해 추가됨
  • 예전의 직렬 통신(Serial Communication) 같은 데서 많이 사용했어요
문자              아스키 코드 (7비트)                                1의 개수        짝수패리티 비트                  최종 전송 비트 (8비트)      
A 1000001 2 0 01000001
C 1000011 3 1 11000011

 

 

4비트씩끊어서 =>1 ,5 ,9

 

 

  

----------전송방식--------------------

1.전송방향 , 2. 전송모드 3.  전송동기

 

 

1.전송방향

1-1단방향전송

 

 

2.전송모드

✅ **동기(Synchronization)**란?

동기는 **발신자(sender)**와 수신자(receiver) 간에 타이밍을 맞추는 과정을 의미해요.
데이터가 정확한 시간에 전송되고, 수신자는 그 시간에 맞춰 데이터를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동기화는 데이터가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핵심적인 부분이에요!

 

비트동기

- 송수신측에 동일한 클록 사용

- 비트검출위치는 중앙

 

문자동기

 

오동기를 방지하기위해 syn을 여러개 붙임

 

아래-오동기문제가 발생하는경우 -ab

 

 

비동기식이 비효율적 start와 stop사이 놀기때문

 

 

다음은 PCM(Pulse Code Modulation)의 관한 설명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적은 것은?

PCM 방식은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A)한다. 이 과정에서 얻은 PAM 펄스에 대해 (B)단계가 필요하며, 이 단계를 거쳐 출력되는 PCM 펄스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C)단계가 필요하다.

 

1

복호화 – 양자화 - 부호화

2

표본화 – 양자화 - 복호화

3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4

부호화 – 양자화 - 복호화

다음은 전송 방향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단방향(simplex) 통신의 경우에는 한 방향으로의 통신이 끝난 이후에 반대 방향으로의 통신이 이루어져 정보 전달 방향이 교대로 바뀐다.

2

반이중(half-duplex) 통신의 전형적인 예는 라디오 방송이다.

3

전이중(full-duplex) 통신은 양방향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4개의 통신 채널이 필요하다.

4

전이중 통신의 전형적인 예는 무전기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전송 모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병렬 전송은 부호화된 코드의 모든 비트가 동시에 전송된다.

2

직렬 전송은 부호화된 글자의 비트들이 하나의 채널을 따라 차례로 전송된다.

3

병렬 전송은 전송 수단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4

직렬 전송은 먼거리 전송에서 채널의 비용 부담 때문에 주로 이용된다.

정답입니다.
정답 : 3

병렬전송은 부호화된 코드의 모든 비트가 동시에 전송되며, 장치와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CPU와 메모리, 컴퓨터와 주변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등에 사용된다.

직렬전송은 부호화된 글자의 비트들이 하나의 채널을 따라 차례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먼 거리 전송에서 채널의 비용 부담 때문에 주로 직렬전송을 이용한다. 직렬전송은 전송수단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수업 > 정보통신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6.데이터 통신의 전송기술(3) 흐름제어 혼잡제어 라우팅  (0) 2025.04.07
5ㄱ  (0) 2025.04.07
4ㄱ  (0) 2025.04.07
3ㄱ  (0) 2025.04.07
1. 컴퓨터통신망의 소개  (0) 2025.04.05